애매한 오각형의 블로그

OSI 7계층과 TCP/IP 본문

Network

OSI 7계층과 TCP/IP

애매한 오각형 2023. 11. 23. 09:52
반응형

1. OSI 7계층

  • 과거에는 통신용 규약이 표준화 되지 않았고, 각 벤더에서 별도로 개발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applicatio이 많았고 통신이 불가능 하였음
  • 이 문제를 하나의 규약으로 통합 하려는 노력이 현재의 OSI 7계층이 되었음
  • 현재는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TCP/IP 프로토콜 스택 기반으로 되어 있음

계층 데이터(PDU) 종류 계층 비고

애플리케이션 계층(Application) Data 애플리케이션 계층( 상위계층 ) 7계층  
프레젠테이션 계층(Presentation) Data 애플리케이션 계층( 상위계층 ) 6계층 표현 계층
세션 계층(Session) Data 애플리케이션 계층( 상위계층 ) 5계층  
트랜스포트 계층(Transport) Segments 데이터 플로 계층( 하위계층 ) 4계층 전송 계층
네트워크 계층(Network) Packets 데이터 플로 계층( 하위계층 ) 3계층  
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) Frames 데이터 플로 계층( 하위계층 ) 2계층  
피지컬 계층(Physical) Bit 데이터 플로 계층( 하위계층 ) 1계층 물리 계층
  • 1~4 계층을 데이터 플로 계층(Data Flow Layer) 또는 하위 계층(Lower Layer) 이라고 부름
  • 5~7 계층을 애플리케이션 계층(Application Layer) 또는 상위 계층(Upper Layer)이라고 부름
  • 이러한 데이터 계층의 분류는 계층의 역할과 목표에 따름
    • 데이터 플로 계층은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음
    •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을 개발할 때 하위 데이터 플로 계층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춤
    • 반대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음
    • 이러한 이유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하향식(Top-Down)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인식
    •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상향식(Bottom-Up)형식 으로 네트워크를 인식

2. TCP/IP 프로토콜 스택

  • 현대 네트워크 대부분은 TCP/IP 와 이더넷 으로 이루어져 있음
  • 일부 특수한 환경에서는 다른 프로토콜이 사용되기도 함
  • OSI 레퍼런스 모델은 7계층으로 이루어진 반면, TCP/IP 모델은 4계층으로 구분됨

OSI TCP/IP

7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
6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
5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
4계층 트랜스포트 계층
3계층 인터넷
2계층 네트워크 액세스
1계층 네트워크 액세스
  • OSI 은 데이터 플로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데이터를 만드는 애플리케이션 부분과 데이터를 잘 전달하는데 집중하는 하부 계층을 구분하는 것이 목적
  • 자연스럽게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서버엔지니어,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고려해야 할 부분이 구분 되었음
  • TCP/IP 모델은 그 구분이 더 확실히 들어남
    • 상위 3개 계층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묶음
    •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하나의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분

3. OSI 와 TCP/IP

참고도서

https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93997435 <-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: 클라우드 데브옵스 시대의 필수 역량!

반응형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 구성도  (0) 2023.11.22